본문 바로가기
정책창고

기초생활수급자 지원금 총정리

by 은수호블로그-BD 닉네임 2025. 3. 26.

 

2025년 기초생활수급자 지원금, 몰라서 못 받는 4가지 핵심 혜택!

2025년부터 기초생활수급자 지원 기준이 완화되면서 수급 가능한 가구가 더 늘어났습니다. 생계급여, 의료급여, 주거급여, 교육급여 네 가지 지원을 항목별로 소득 기준과 실제 사례까지 정리했습니다. 몰라서 놓치는 일이 없도록 꼼꼼히 체크해 보세요!

이미지 = 보건복지부


기초생활수급자 지원금별 소득 기준표 (2025년 기준 중위소득 대비)

이미지 = 보건복지부

 

가구원 수 생계급여 (중위소득 32%) 의료급여 (중위소득 40%) 주거급여 (중위소득 48%) 교육급여 (중위소득 50%)
1인 765,444원 956,805원 1,148,166원 1,196,006원
2인 1,258,451원 1,573,063원 1,887,376원 1,967,329원
3인 1,617,578원 2,021,972원 2,426,366원 2,513,927원
4인 1,951,287원 2,439,109원 2,926,930원 3,048,887원

※ 단, 소득 인정액(실제 소득 + 재산 환산액)을 기준으로 판단됩니다.

 

보건복지부 소득 기준확인 홈페이지


1. 생계급여: 매달 생활비 현금 지급

지원 내용
중위소득 32% 이하 가구에 매월 현금 지원. 지급액은 기준 생계비에서 실제 소득을 뺀 차액만큼 지급.

실제 사례

  • 4인 가구 A씨: 부부와 자녀 2명, 소득은 월 150만 원.
    → 기준 중위소득(1,951,287원) 이하로 생계급여 대상
    → 생계급여 약 45만 원 수급 중
    → "식비·공과금 부담이 줄어들고, 자녀 간식까지 챙길 수 있어 숨통이 트였어요."

요약
가장 기본적인 지원이지만 소득 기준만 맞으면 누구든 신청 가능! 꼭 챙기세요.

 

 

2025년 생계 급여

2025년 생계급여는 저소득 가구의 기본적인 생활을 지원하기 위한 중요한 사회보장 제도로, 2024년과 비교하여 여러 가지 변화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생계급여의 정의, 2025년의 주요

eunsooho.com


2. 의료급여: 병원비 부담 ‘0원’ 가능

지원 내용
중위소득 40% 이하 가구 대상. 진료비, 입원비, 약값 등 지원.

  • 의료급여 1종: 대부분 본인부담 없음
  • 의료급여 2종: 일부 항목에서 본인부담 10~15%

실제 사례

  • 1인 가구 B씨: 노년의 독거 어르신, 기초연금 포함 월 소득 80만 원.
    → 의료급여 1종 대상
    → "MRI, 내시경 검사까지 무료로 받아서 만성 질환 관리가 쉬워졌어요."
    → 입원 중 식대도 일부 감면

요약
나이 들수록 아픈 데 많아지는데… 병원비 걱정 덜 수 있는 최고의 혜택!

 

 

2025년 의료급여 총정리 (+지원 대상, 신청 방법, 지급 금액)

의료급여는 저소득층이 의료 서비스를 부담 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정부가 지원하는 사회보장제도입니다.2025년 의료급여 지원 대상, 신청 방법, 지급 금액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의료

ad.eunsooho.com


3. 주거급여: 임대료 지원 또는 주택 수리비 지급

지원 내용
중위소득 48% 이하 가구 대상.

  • 임차가구: 지역·가구원 수 기준으로 임대료 일부 또는 전액 지원
  • 자가가구: 주택 노후도에 따라 수선유지비 지급 (도배, 보일러 등)

실제 사례

  • 2인 가구 C씨 부부: 경기 고양시 거주, 월세 45만 원
    → 중위소득 1,887,376원 기준 이하
    → 주거급여 월 38만 원 지급
    → 실질 월세 부담은 단 7만 원
    → "도시에서 이렇게 적은 월세로 산다는 게 꿈같아요."

요약
서울·수도권 거주자는 특히 체감도 높은 혜택! 전·월세 계약서 꼭 챙기세요.

 

 

2025년 주거급여 총정리 (+지원 대상, 신청 방법, 지급 금액)

2025년 달라지는 주거급여, 지금 확인하세요! 주거급여는 저소득층의 주거 안정을 위해 정부에서 지원하는 복지 제도입니다. 2025년에는 중위소득 기준이 조정되면서 지원 대상과 지급 금액도 달

ad.eunsooho.com


4. 교육급여: 초중고 자녀 학습비 지원

지원 내용
중위소득 50% 이하 가구의 초·중·고 자녀 대상

  • 초등학생: 연 487,000원
  • 중학생: 연 679,000원
  • 고등학생: 연 768,000원 + 입학금·수업료 전액 지원

실제 사례

  • 3인 가구 D씨: 중학생 자녀 1명
    → 기준 중위소득 이하, 교육급여 수급 중
    → 연간 67만 원 지급 + 방과후학교 무료 참여
    → "아이 학원비 걱정 덜고, 태블릿도 사줬어요."

요약
교육은 기본권! 저소득 가구 자녀도 공부 포기 없이 뒷받침하는 지원금입니다.

 

 

2025년 교육급여 총정리 (+지원 대상, 신청 방법, 지급 금액)

교육급여는 저소득층 가구의 학생들이 안정적으로 학업을 이어갈 수 있도록 정부에서 지원하는 복지제도입니다.2025년 교육급여의 지원 대상, 신청 방법, 지급 금액을 자세히 정리해 보겠습니다

ad.eunsooho.com


5. 2025 보건복지부 주요 업무 추진 계획

2025년+보건복지부+주요업무+추진계획.pdf
1.09MB
이미지 = 보건복지부


기초생활수급자 지원금 신청 방법 

  • 신청 방법:
    1. 온라인 신청 : 복지로 홈페이지 (↓ 아래)
    2. 방문 신청: 거주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
    📌 필요 서류:
    • 사회복지서비스 및 급여 제공 신청서
    • 금융정보 제공 동의서
    • 소득·재산 관련 서류
    • 신분증

복지로 온라인신청 홈페이지

 

수급자 기준 확인 = 이미지 (보건복지부)


요약하면!

✔ 생계급여 → 매달 현금
✔ 의료급여 → 병원비 지원
✔ 주거급여 → 월세/자가 수선비
✔ 교육급여 → 자녀 학비 현금

중위소득 기준만 넘지 않는다면 충분히 받을 수 있는 권리입니다. 


마치며, 2025년 기초생활수급자 지원금, 나도 받을 수 있을까?

1) 소득이 기준 중위소득의 50% 이하라면 지원 가능
2) 생계급여, 의료급여, 주거급여, 교육급여 중 하나라도 받을 수 있음
2) 신청은 주민센터 또는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가능

자신이 해당되는지 확인하고, 아직 신청 안 하셨다면, 지금 바로 복지로 사이트 또는 가까운 주민센터로 문의해 보세요!

 

복지로 기초생활 지원금 신청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