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책창고

다자녀 공항 우선출국 패스트트랙 6월부터 도입

by 은수호블로그-BD 닉네임 2025. 3. 13.

 

6월부터 다자녀 가구 대상 공항 우선출국 패스트트랙 도입!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한 정부의 다각적인 노력의 일환으로, 2025년 6월부터 3자녀 이상 다자녀 가구를 위한 공항 우선출국 서비스인 '패스트트랙'이 도입됩니다.


패스트트랙 서비스란?

 

패스트트랙 서비스는 공항에서 출국 수속 시 대기 시간을 줄여주는 우선출국 서비스입니다. 기존에는 아래와 같이 임산부, 장애인, 영유아 동반자 등 교통약자와 사회적 기여자를 대상으로 제공되었으나, 이번 정책으로 3자녀 이상 다자녀 가구도 그 대상에 포함됩니다.


적용 대상 및 조건

 

  • 대상 가구: 미성년 자녀(19세 미만)를 3명 이상 둔 가구
  • 이용 조건: 부모와 자녀 각각 최소 1인 이상이 함께 출국 시 이용 가능

예를 들어, 아버지와 자녀 한 명이 함께 출국하는 경우에도 패스트트랙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아직 다자녀 패스트트랙이 도입되지는 않았지만, 아래 기존 이용 방법과 비슷한 형태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적용 공항

패스트트랙 서비스는 다음 공항에서 제공될 예정입니다:

  • 인천국제공항
  • 김포국제공항
  • 김해국제공항
  • 제주국제공항

이들 공항에서 다자녀 가구는 우대 출구를 통해 빠르고 편리하게 출국 수속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정부의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

대한민국은 세계 최저 수준의 출산율로 인한 인구 감소 문제에 직면해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이번 다자녀 패스트트랙 도입도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 중 한 가지입니다.

  • 양육 비용 지원 확대: 2024년부터 부모급여가 0세 월 100만 원, 1세 월 50만 원으로 인상되었으며, 첫 만남 이용권이 첫째 200만 원, 둘째 이상 300만 원으로 상향되었습니다.
  • 돌봄과 교육 서비스 확대: 늘봄학교가 모든 초등학교로 전면 확대되어, 초등학생 돌봄 서비스가 강화되었습니다.
  • 주거 지원 강화: 신혼부부의 주택구입·전세자금 대출 소득요건이 완화되었으며,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이 신설되어 이자율과 납입한도가 확대되었습니다.
  • 일·가정 양립 지원: 부모 모두 육아휴직 사용 시 첫 6개월 동안 통상임금의 100%를 지원하며, 육아기 근로자 시차출퇴근 장려금이 신설되었습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2024년 출산율이 0.72에서 0.75로 소폭 상승하는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습니다.


기대 효과

이번 패스트트랙 도입으로 다자녀 가구의 공항 이용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또한, 다자녀 가구를 사회적으로 우대하는 분위기 조성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이러한 정책은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한 정부의 노력의 일환으로, 다자녀 가구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인천공항 > 교통약자 출국 우대 서비스 바로가기 >>

 

함께 보면 좋은 글

 

 

2025 근로장려금 신청방법 총정리 꿀팁

2025년 근로장려금 신청방법 총정리 꿀팁!근로장려금은 저소득 근로자, 사업자, 종교인 가구의 근로 의욕을 높이고 실질 소득을 지원하기 위해 정부에서 제공하는 제도입니다. 2025년에는 소득 기

infolife1.eunsooho.com

 

 

서울시 모범납세자 기준 총정리

서울시 모범납세자 기준 총정리! "서울시 올해 2025년 모범납세자 33만 7천명 선정하여.. 작년보다 9.3% 증가" 하였다고 합니다. 서울시는 지방세를 성실하게 납부한 납세자를 대상으로 모범납세자

infolife1.eunsooho.com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신청하기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신청하기 – 신청 대상, 방법, 지급일 총정리!경기도 청년들을 위한 대표적인 지원제도 중 하나가 바로 경기도 청년기본소득입니다. 청년들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고 지

infolife1.eunsooho.com

 

 

소상공인 폐업지원금 신청 방법

2025년 소상공인 폐업지원금 신청 방법 및 수령 기간 안내!2025년, 소상공인들의 폐업 과정에서 발생하는 경제적 부담을 완화하고 재기를 지원하기 위해 정부는 다양한 폐업지원금을 제공하고 있

infolife1.eunsooh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