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책창고

청년내일채움공제 자격 조건 및 청년연계형 총정리

by 은수호블로그-BD 닉네임 2025. 4. 11.

 

2025년에도 여전히 많은 청년들이 처음 정규직으로 취업하면서 가장 많이 찾는 제도 중 하나가 바로 청년내일채움공제입니다. 하지만 실제로 신청하려고 보면 자격 요건이 복잡하거나, 신청 시기가 지나버려 혜택을 놓치는 경우가 생각보다 많습니다. ​또한 2024년에 청년내일채움공제 정책은 이미 만료가 되었습니다.

청년내일채움공제 만기자가 있는 청년과 중소기업에서 진행 가능한 제도가 있습니다. 청년연계형 내일채움공제는 중소기업에서 장기근속하는 청년의 자산 형성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청년내일채움공제 만기자와 해당 기업이 함께 매월 일정 금액을 적립하여, 3년 후 성과보상금 형태로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 알아보겠습니다. 


 


1-1) 청년연계형 내일채움공제란?

청년내일채움공제 만기자를 대상으로, 중소기업과 청년이 공동으로 매월 일정 금액을 적립하여 3년 후 성과보상금 형태로 지급하는 제도입니다. 이를 통해 청년의 장기근속을 유도하고 자산 형성을 지원합니다.


1-2) 청년연계형 내일채움공제 신청 자격 조건

청년(핵심인력):

  • 청년내일채움공제 만기자
  • 만기공제금 수령 여부와 관계없이 신청 가능

기업:

  • 청년내일채움공제 만기자를 배출한 중소(중견)기업
  • 휴·폐업 중이거나 국세·지방세 체납 중인 기업은 제외

1-3) 청년연계형 내일채움공제 지원 내용

  • 적립 구조: 기업과 청년이 각각 매월 14만 원씩 3년간 납입하여 총 1,008만 원 적립
  • 세제 혜택:
    • 청년은 기업 납입분에 대해 근로소득세 감면 혜택
    • 기업은 납입금 전액 손금산입 및 세액공제 혜택
구분 청년 납임금 기업 납입금
월 납입금 14만 원 14만 원
납입 기간 3년 (36개월) 3년 (36개월)
총 납입금 504만 원 504만 원
적립 방식 매월 정기 적립 매월 정기 적립
총 적립금 총 1,008 만원 + 복리 이자
적립 방식 매월 청년+기업이 각 14만 원 납입
만기 수령액 1,008 만원

 


1-4) 청년연계형 내일채움공제 신청 방법

온라인 신청:

  1. 내일채움공제 홈페이지에서 회원가입
  2. 기업과 청년이 각각 청약 신청
  3. 가입 심사 및 승인 후 공제금 납입 시작

내일채움공제 홈페이지 바로가기👉

 

오프라인 신청:

  •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지역본지부 방문하여 신청서 및 구비서류 제출

구비서류:

  • 사업자등록증 사본
  • 국세 및 지방세 납세증명서
  • 4대 사회보험 가입자 가입내역 확인서 등

문의처:

  •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고객센터: 1588-6259

자세한 내용은 내일채움공제 공식 홈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내일채움공제] 청년연계형 내일채움공제 매뉴얼-압축파일.pdf
2.00MB


[2025년 4월 업데이트 : 2024년 청년내일채움공제는 가입 만료됨]

 

2-1) 청년내일채움공제란?

청년내일채움공제는 만 15세~34세 청년이 정규직으로 취업 후 일정 기간 근속하면 1,200만 원을 지원받을 수 있는 자산형성 제도입니다.정부, 기업, 본인이 함께 적립하며 청년의 미래를 위한 통 큰 지원을 받을 수 있어요.


2-2) 신청 자격 조건 (2025년 기준)

  • 만 15세 이상 34세 이하 청년
  • 정규직으로 취업한 지 6개월 이내 신청 필수
  • 고용보험 총 가입기간 12개월 이하
  • 생애 첫 정규직 취업자 우대
  • 중소·중견기업 재직자 가능

👉 6개월 넘기면 신청 불가! 꼭 일정 체크하세요.


2-3) 청년내일채움공제 지원내용 (2년형 vs 3년형)

구분 2년현(2025년형) 3년형(특정 조건 대상자)
총 수령액 1,200만 원 2,000만 원 이상
청년 납입금 300만 원 (월 약 12.5만 원) 600만 원 (월 약 16.7만 원)
기업 지원금 400만 원 600만 원 이상
정부 지원금 500만 원 1,000만 원
근속 조건 2년 3년
적립 형태 공동 적립형 공동 적립형
수령 방식 만기 시 일괄지급 만기 시 일괄지급

📌 2년형이 일반적이며, 3년형은 특정 중소기업·특정 직종 등에서 제한적으로 운영됩니다. 일반 청년은 대부분 2년형 대상입니다.


2-4) 청년내일채움공제 가입요건 (청년 & 기업)

청년 가입요건

항목 내용
연령 만 15세 이상 ~ 만 34세 이하
고용형태 정규직 취업자
신청 기한 취업 후 6개월 이내 신청 필수
고용보험 이력 총 가입 기간 12개월 이하 (단기알바 제외)
특이사항 생애 최초 정규직 취업자 우대, 졸업 후 3년 이내 우선 가능

기업 가입요건

항목 내용
기업 규모 고용보험 피보험자 5인 이상 중소기업
업종 제조업, 건설업, 정보통신업 등 일부 업종 우대
조건 고용보험 가입 중인 청년 채용 필수
제외 대상 비영리법인, 국가·지자체 직영기관, 고용보험 미가입 기업

2-5) 청년내일채움공제 주요 일정 정리

구분 내용 비고
신청 기간 정규직 취업 후 6개월 이내 이 시기를 넘기면 절대 신청 불가
적립 시작일 청약 승인 후 매월 정기 납입 시작 자동이체 설정 필수
중도 해지 가능 시기 언제든 가능하나, 수령금 대폭 축소 해지 시 기업 및 정부지원금 회수
만기 지급일 근속기간(2년 or 3년) 완료 시 일괄 지급 퇴사 없이 만기까지 유지 시 전액 수령 가능

2-6) 청년내일채움공제 신청 절차, 이렇게 진행됩니다!

청년내일채움공제는 청년보다 기업이 먼저 신청해야 하는 제도입니다. 기업이 먼저 참여 신청을 완료해야, 그 후 청년이 본인 가입 신청을 할 수 있어요. 운영기관에서 청년과 기업 모두의 요건을 확인한 뒤 최종 승인되면, 매월 정해진 금액을 납입하는 방식으로 공제가 시작됩니다.

 

신청 단계 요약

단계 설명
1단계 기업이 ‘청년내일채움공제’ 운영기관에 사업 참여 신청
2단계 청년이 중소벤처기업부 ‘청년공제 홈페이지’에서 개인 가입 신청
3단계 운영기관이 양측의 요건을 검토 후 승인
4단계 승인 완료 후 청년과 기업이 매월 납입금 적립 시작

구체적인 신청 방법

  1. 기업: 워크넷에 접속해 '청년내일채움공제' 사업 참여 신청
  2. 청년: 청년공제 공식 홈페이지에서 개인 가입 신청
  3. 운영기관: 참여 기업과 청년의 자격을 확인한 뒤 최종 승인

📌 승인 이후에는 자동이체 등록을 통해 매월 납입이 진행되며, 만기까지 근속 시 공제금이 지급됩니다.

 

워크넷 공식 홈페이지 바로가기 👉

청년공제 공식 홈페이지 👉


2-7) 청년내일채움공제 혜택 총정리 (청년 & 기업)

청년에게 주어지는 혜택

혜택 항목 내용
최대 1,200만 원 수령 2년 근속 시 만기 수령 (본인 300 + 정부·기업 900만 원)
근속 장려 효과 초기 이직 유혹 방지, 이력서에 2년 이상 경력 기재 가능
자산 형성 사회 초년생에게 목돈 마련 기회 제공
정부 인증 경력 고용노동부 연계로 신뢰도 높은 경력 인정

기업이 받는 혜택

혜택 항목 내용
기업부담금 일부 보전 청년 고용 유지를 위한 기업 지원금(400만 원 이상) 지급
청년 장기근속 유도 인력 유출 방지 및 장기근속률 향상
정부 협력 이미지 상승 청년정책 참여 기업으로서 대외 이미지 강화
세액공제 혜택 일부 경우 세금 감면 또는 지원금 활용 가능

💡 청년도 목돈 받고, 기업도 고용안정 보장! 정부 주도형 상생 정책이기에 양측 모두 실익이 큽니다.


2-8) 실사례로 보는 청년내일채움공제 활용 이야기

📌 사례 ① 25세 김지민 (서울, 첫 직장)

대학 졸업 후 중소 IT기업에 첫 정규직으로 입사한 김지민 씨는 HR팀의 추천으로 청년내일채움공제에 가입했습니다.
매월 12만 원씩 자동이체하며 큰 부담 없이 적립을 이어갔고, 2년 뒤 1,200만 원 일시 수령!
해당 금액으로 전셋집 계약금 일부를 마련했고, 청년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과 함께 내 집 마련 발판을 마련했습니다.

🗣️ “매달 커피값 아낀다고 생각했는데, 두둑한 적립금이 인생을 바꿨어요!”


📌 사례 ② 33세 박현우 (부산, 재취업 성공자)

한 번의 이직 실패 후 재취업한 박현우 씨는 ‘청년내일채움공제는 생애 최초 취업자만 되는 거 아냐?’라고 생각했지만,
고용보험 총 가입기간이 12개월 이하라 재도전 청년도 참여 가능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현재는 안정적으로 적립 중이며, 회사도 청년공제 기업으로 홍보해 채용에 도움을 보고 있습니다.

🗣️ “정말 운 좋게 제도 덕 봤어요. 이건 꼭 널리 알려야 해요!”


2-9) 주의사항 & 꿀팁

  • 6개월 이내 신청 필수 (계약일 기준)
  • 휴직, 퇴사, 이직 시 공제 불가
  • 동일 제도 중복 불가 (예: 청년희망적금 등)
  • 중소기업 재직 증명서류 꼭 챙기세요

2-10) 이런 분들께 추천드립니다.

  • 첫 직장에 정규직으로 입사한 20대~30대 청년
  • 사회초년생으로 자산을 모으고 싶은 분
  • 청년 정책 혜택을 100% 받고 싶은 분

2-11) 마무리

청년내일채움공제는 단순한 지원 제도가 아닙니다. 청년이 사회에 첫 발을 내디딜 때, 더 안정적으로 자산을 모으고 커리어를 시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청년 맞춤형 정책입니다. 단, 신청 기한이 정해져 있고 조건이 비교적 까다롭기 때문에 정확한 시기와 절차를 알고 빠르게 신청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지금이 바로 그 기회일 수 있습니다.

 

“아… 나중에 알아봐야지” 하고 미루다 보면 1,200만 원이라는 큰 금액을 놓칠 수 있습니다. 고민만 하지 마시고, 오늘 바로 청년내일채움공제 공식 사이트에서 참여 가능 여부를 확인해보세요. 이 글이 여러분의 첫 자산 형성과 성공적인 직장 생활의 시작점이 되기를 바랍니다. 

 

청년내일채움공제 공식 홈페이지👉

 

 

 

내일배움카드 신청조건 및 방법

국민내일배움카드는 직업능력개발을 위한 정부 지원 제도로, 취업 준비생, 재직자, 자영업자 등 다양한 계층이 교육비를 지원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2025년 현재, 최대 500만 원까지 훈련비를

infolife1.eunsooho.com

 

 

LH 행복주택 자격 조건 및 청약 신청 방법

LH 행복주택 자격 조건 및 청약 신청 방법 (2025년 최신) LH 행복주택은 청년, 신혼부부, 한부모가족 등 주거 취약계층을 위해 시세보다 저렴한 임대료로 공급되는 공공임대주택입니다. 2025년 최신

infolife1.eunsooho.com

 

 

소상공인 희망리턴패키지 완벽 정리

폐업했어도 끝이 아니다! 소상공인 희망리턴패키지 완벽 정리 가이드! 폐업은 끝이 아닌, ‘새로운 시작’입니다. 소상공인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위기를 겪습니다. 예상치 못한 경기 침체, 물

infolife1.eunsooho.com

 

 

K패스 카드 발급 방법

K패스 카드 발급 방법 완전 정복! 교통비 아끼는 핵심 꿀팁!K패스 카드 하나면 대중교통 요금이 최대 53%까지 절감됩니다. 특히 월 15회 이상 지하철이나 버스를 이용한다면, 무조건 혜택을 챙겨야

infolife1.eunsooho.com

 

 

국민내일배움카드 신청방법 총정리

국민내일배움카드 신청방법 총정리, 누구나 쉽게 따라 하는 2025 최신 가이드!국민내일배움카드는 정부가 국민의 직무 능력 향상과 취업을 위해 최대 500만 원까지 훈련비를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infolife1.eunsooho.com